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G와 5G 속도와 차이점을 쉽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19. 10. 6. 21:28
    반응형

     

    이동 통신에서 이야기하는 “3G”, “4G(LTE)”, “5G”는 무슨 뜻인가요?

     

    이동전화, 핸드폰(손전화), 스마트폰이라고 부르는 기기들에서 사용하는 통신 기술을 이동 통신 기술이라고 하는데요. “3G”, “4G”, “5G”는 이동 통신 기술에 붙이는 이름이라고 보면 됩니다. G는 영문 Generation (세대)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는 “3세대”, “4세대”, “5세대라고 할 수 있겠지요. 그런데 실제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발음은 쓰리지”, “포지(또는 엘티이라고도 해요)”, “파이브지입니다. 당연히 숫자가 높을 수록 더 새로운 표준 기술입니다.

    이동 통신에서 “3G”, “4G(LTE)”, “5G” 표준은 누가 만드는 건가요?

     

    이동 통신 기술의 표준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이름의 세계적인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 협력 기구에서 줄곧 만들어 내고 있어요. 우리나라의 삼성전자와 LG전자도 3GPP의 표준화 활동에 같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3GPP가 하나의 표준을 만들고 나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그 표준에 맞게 이동전화를 설계하고 제작하고 판매하지요. 이 표준은 세계에서 모두 채택하는 표준이기 때문에, 이렇게 만들어진 이동전화는 다른 나라에 가져가도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답니다.

     

    “3G”, “4G(LTE)”, “5G” 표준 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표준이 새로이 개발되면 여러가지 기술들이 많이 생기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통신 속도가 빨라집니다.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3G” 표준을 채택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는 동영상의 재생이 지금처럼 매끄럽게 잘 되지 않았어요. “4G” 표준이 되면서 비로소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도 인터넷이나 동영상 등을 집에서 쓰는 것처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었지요.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4G” 이동 전화 단말기의 통신 속도가 집에서 컴퓨터로 이용하는 유선 인터넷의 속도보다 더 빠를 수도 있답니다. 이제 “5G”가 되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게임, 방송, 통신, 건설, 로봇,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자들이 지금보다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4G(LTE)” 속도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이동 통신에서는 주파수 대역이란 용어를 써요. 이동 통신사가 주파수 대역을 더 많이 가지면 더 빠른 통신을 할 수 있게 되는데요, 아래 <그림1> 은 우리나라의 어떤 통신사에서 내놓은 광고인데요,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통신의 속도를 자동차 도로와 비슷하게 그림으로 표시한 것이에요.이것을 자동차 도로라고 생각하면, “차선(1차선, 2차선, 3차선 할 때 그 차선이에요)”이 넓어지거나 많아지면 전달하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속도가 더 빨라지겠지요? “차선의 너비를 표시할 때는 Mhz(메가헤르츠)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 숫자가 크면 차선이 더 넓어져요. <그림1> 에서는 2014년 당시 가장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도합 60Mhz차선너비까지 최대 사용할 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지요. 2019년 현재는 “4G(LTE)” 표준 기술에서 최대 100Mhz의 주파수 대역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 100Mhz라는 차선속도의 수치로 나타내면 1Gbps(기가비피에스라고 읽어요)인데요, 이것은 인터넷에서 품질이 좋은(FHD) 영화 한편을 다운받을 때 20초가 채 안 걸리는 정도에요. 하지만 이것은 통신사마다,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요금제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우리나라의 평균적인 LTE 속도는 150Mbps(메가비피에스)로 최대 속도의 1/7 정도랍니다.

    <그림1: 2014SKT 광고 그림>

     

    “5G” 속도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5G에서는 통신 속도를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 4G와는 완전히 다른 주파수 대역을 추가해서 같이 사용해요. 참고로 우리나라의 경우 아래 <그림2>에서처럼 4G800Mhz에서 2.6Ghz(기가헤르츠) 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5G3.5Ghz에서 28Ghz사이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합니다. 좀 더 자세하게 보면, <그림2>의 가장 아래쪽 “3.5Ghz ~ 28Ghz 대역그림에서 왼쪽이 3.5Ghz 쪽 주파수 대역이고 오른쪽이 28Ghz 쪽 주파수 대역(mmWave, 밀리미터파 대역이라고도 해요)이에요. 그런데 여기서 차선너비를 나타내는 “Mhz”의 숫자를 보면 3.6Ghz 주파수 대역 쪽은 100Mhz이고 28Ghz 주파수 대역 쪽은 800Mhz지요? 4G보다는 5G 3.6Ghz 쪽이, 5G 3.6Ghz보다는 5G 28Ghz가 빠릅니다.

    <그림2: 2018년 이동통신 사업자 주파수 현황>

     

     

    “5G” 이동통신 단말기를 지금 사야 할까요?

     

    201910월 현재 나와 있는 5G 이동통신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했던 내용 중 4G/LTE5G 3.5Ghz 주파수 대역만 지원해요. 즉 최고 속도는 4G 주파수 대역(최대치 100Mhz) + 5G 3.5Ghz 주파수 대역(100Mhz) 해서 도합 200Mhz이니 4G 최고 속도(100Mhz일 때 1Gbps) 대비 2배인 2Gbps가 최고 속도입니다. 하지만 물론 이 부분도 5G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직장이나 집이 위치해 있어야 의미가 있겠지요. 각 통신사 별 5G 기지국 설치 현황은 아래에서 실시간으로 찾아볼 수 있어요

     

    -     SKT 5G 설치 현황: http://www.sktcoverage.com

    -     KT 5G 설치 현황: https://coverage.kt.com/

    -     LGU+ 5G 설치 현황: http://www.uplus.co.kr/css/iner/RetrieveCoverMapNoneSSL.hpi

     

    아쉬운 점은 현재 우리나라에 나와 있는 5G 이동통신 단말기는 아직 28Ghz주파수 대역을 지원하지 않아요. 28Ghz까지 활용하면 20Gbps, 즉 이론적으로는 현재 4G 최고 속도(1Gbps)20배까지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28Ghz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비는 비싸기도 하지만 장비 하나가 지원하는 지역이 아주 좁아서 얼마나 빨리 설치될지는 미리 짐작하기가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28Ghz 기지국 장비를 2020년부터 설치 시작한다고 합니다.

     

    정리하자면, 28Ghz속도까지 꼭 필요한 사람은 28Ghz까지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표될 때까지 좀 더 기다려야 하고, 4G 속도의 2배 최고속도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5G 기지국 설치 현황을 참고해서 지금 구매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전자제품의 구매 시기는 언제나 애매한 문제이지요. ^^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